본문 바로가기
작은 시작, 큰 변화

재밌는 강의는 가능하지만, 당신 인생의 재미는 당신만이 만든다

by 브레인 노마드 (Brain Nomad) 2025. 9. 18.

재밌는 강의는 가능하지만, 당신 인생의 재미는 당신만이 만든다

재밌는 강의를 만드는 일은 기술과 연습으로 충분히 가능하다. 하지만 당신 인생의 재미는 강사가 대신 만들어줄 수 없다. 그래서 우리는 개그맨·기획창작자에게 기꺼이 시간과 돈을 지불한다. 그들이 대단한 이유는 우리의 주의를 사로잡아 웃음과 여운을 남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신 인생의 장르를 정하고, 주인공으로 뛰는 일은 오직 당신의 역할이다.

좋은 말은 쉽다, 큰소리는 어렵다

  • “좋은 말, 맞는 말(잔소리)”은 누구나 할 수 있다. 검색하면 무한히 나온다.
  • 하지만 가슴에 울리는 큰소리, 즉 삶을 움직이는 메시지는 쉽지 않다.
  • 큰소리는 진정성 × 맥락 × 실행이 합쳐질 때 울린다.
남의 논리로는 설득할 수 있어도, 내 삶으로는 감동시켜야 한다.

왜 ‘인생의 재미’는 스스로 만들어야 할까?

  • 맞춤형 동기: 외부 자극은 오래가지 않는다. 내 서사(왜, 무엇, 어떻게)가 있어야 지속된다.
  • 참여감: 관객은 소비하지만, 주인공은 창조한다. 참여가 재미를 만든다.
  • 주도권: 내 선택으로 만든 재미는 통제감과 자존감을 높인다.

예시 1) 재미 없는 루틴을 ‘연출’로 바꾸기

같은 출근길이라도 연출하면 다르다.

  • 미션 부여: “오늘 엘리베이터에서 1번은 누군가에게 먼저 인사하기”
  • 점수화: 인사 성공 1점, 대화 3줄 이상 3점(주 10점 달성)
  • 연출 소품: 이어폰 플레이리스트를 ‘오프닝/클라이맥스’ 트랙으로 분할

연출이 개입되는 순간, 일상은 ‘지루한 반복’에서 게임화된 이야기로 변한다.

예시 2) 강의/회의를 웃음과 몰입으로 만드는 한 컷

  • 콜드 오픈(10초): 오늘 주제를 한 줄 밈/짤로 연결(웃음 → 주목)
  • 1분 스토리: 실패담 한 컷(공감 → 경계 해제)
  • 즉시 참여: 손들기/폴/채팅 1문항(관객 → 참여자 전환)
  • 핵심 한 문장: “오늘 할 수 있는 한 가지만 가져가자.”
  • 퇴장 미션: 나가기 전 체크리스트 1개 완료(완료의 증거)

웃음은 목적이 아니라 관문이다. 관문이 열리면 메시지가 들어간다.

큰소리를 낼 수 있는 연습: Resonance 3Steps

  1. 진실 고백(Truth): 내가 실제로 겪은 실패/두려움/전환 한 줄을 적는다.
    예: “나도 3번이나 미뤘다. 그래서 ‘10분만’으로 시작했다.”
  2. 한 문장 메시지(One-Liner): 상대의 행동을 촉발할 한 문장을 만든다.
    예: “오늘 10분만, 내 인생의 예고편을 찍자.”
  3. 즉시 행동(Act): 5~10분 안에 할 수 있는 구체 행동을 제시한다.
    예: “휴대폰 타이머 10분, 지금 초안 3문장.”

이 3단계를 루틴화하면 말은 ‘정보’에서 ‘행동의 트리거’가 된다.

내 삶의 재미를 설계하는 A-R-C 프레임

  • A(Adventure): 이번 주 ‘작은 모험’ 1개(평소 안 하던 선택 한 가지)
  • R(Ritual): 매일 5분 ‘오프닝 리추얼’(음악, 문장, 루틴 동작)
  • C(Creation): 매일 1개 ‘창작 흔적’(사진 1장, 문장 1줄, 기록 1칸)

모험·의식·창작이 결합될 때 재미는 소비가 아니라 생산이 된다.

셀프 체크: 나는 관객인가, 주인공인가?

  • 오늘 웃음을 소비만 했는가, 창조도 했는가?
  • 나의 큰소리는 무엇인가? 한 문장으로 말할 수 있는가?
  • 내가 만든 재미의 완료 증거(게시·공유·기록)가 있는가?

한 문장 요약

재밌는 강의는 타인이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인생의 재미는 당신만이 만든다. 큰소리를 연습하라.